[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G7정상 "미국 대북외교 환영…北에 대화 촉구" 外
[앵커]
2년 만에 대면 회담에 나선 주요 7개국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에서 인권문제 등을 거론하며 중국을 압박했습니다. '이스라엘 최장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의 장기 집권이 약 12년 만에 막을 내립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11일부터 13일까지 영국 콘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가 폐막했습니다. 어떤 결실을 맺었는지, 이 소식부터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우선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면, 주요 7개국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에서 미국의 대북외교를 지지했고 북한을 향해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공동성명에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촉구한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북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의 검증가능하고 불가역적인 포기를 요구한다"는 내용이 들어갔습니다. '북한과 실용적 외교를 하겠다'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의지가 공동성명에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G7 정상들은 모든 국가에 이런 결의와 관련 제재를 완전히 이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인권 문제를 강조했습니다. G7 정상들은 "북한에 모두의 인권을 존중하며 즉각 납북자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전 행정부와 달리 대외정책의 중심에 인권을 놓겠다고 선언해온 만큼 북한에 인권 존중을 촉구한 문구에도 G7 정상 간 공감대가 쉽게 이뤄졌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공동성명에서 또 눈에 띄는 것으로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검증가능하고 불가역적인 포기'라는 표현이 들어갔다는 겁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동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제시해왔습니다. G7 정상회의는 11∼13일 영국 콘월에서 열렸으며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호주와 인도, 남아공 정상이 초청됐습니다.
[앵커]
'G7' 정상들은 중국을 향한 공세를 강화했다면서요. 'G7 정상회의'가 성명을 통해 중국을 정면으로 비판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면서요.
[기자]
G7 정상들은 홍콩 민주화 세력 탄압과 신장지역 주민 강제노역, 대만과 갈등 등을 거론했습니다. 중국을 향한 공세를 강화한겁니다.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에서 중국 신장 자치구 주민의 인권 존중과 홍콩에 대한 고도의 자치 허용을 촉구했습니다. 이어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도 주장했습니다. 또, 글로벌 경제의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저해하는 중국의 '비시장' 정책과 관행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해서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들은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에 대응해 새로운 글로벌 인프라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G7 성명에는 코로나19 기원 재조사를 촉구하는 내용도 들어갔습니다. G7 정상들은 이번에 코로나19의 중국 우한 실험실 유출설을 포함해 다양한 가설을 논의했습니다. 중국은 자국을 겨냥한 G7의 움직임을 강력하게 비판했습니다. 앞서 영국주재 중국대사관 대변인은 "작은 집단이나 정치 블록의 이익을 위한 것은 사이비 다자주의"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이번 'G7 정상회의' 기간에 한미일 또는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가 관심을 모았는데요. 끝내 불발됐어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초청국 자격으로,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총리는 G7 회원국 자격으로 각각 참석했습니다. 문 대통령의 G7 정상회의 참석을 놓고 일각에서는 2019년 12월 이후 1년 반만의 한일 정상 간 대면 회담을 통해 경색된 관계를 반전시킬 발판이 마련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나왔습니다.
중국 견제에 뛰어든 바이든 대통령이 한미일 협력에 무게를 실은 데다, 스가 총리가 도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지상과제로 삼는 만큼 문 대통령과의 회담 가능성에 한층 무게가 실렸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취임한 스가 총리를 향해 두 나라 간 현안 해결을 위해 노력하자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하지만 한일 정상회담과 한미일 정상회담의 불발로, 한일 정상의 만남은 기약 없이 미뤄지게 됐습니다. 한일 두 정상은 12일 확대회의 전에 처음으로 조우해 반갑다는 인사를 나눴고, 이어진 만찬에서 1분 정도 대화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두 차례 모두 문 대통령이 다가가 조우가 이뤄졌다는 전언입니다.
G7 정상회의가 열리는 동안 'G7'에 한국,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참가시켜 확대 개편하는 것에 일본이 반대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일본이 손님 국가로 한국·호주·인도를 부르는 것은 괜찮지만, G7 확대에는 반대라고 호소했다는 겁니다.
이번 G7 정상회의 의장인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한국을 비롯한 4개국과 G7을 아울러 '민주주의, Democracy 11'이라는 의미로 'D11'이라고 개막 직전 성명에서 규정하는 등 일각에서 'D11'이 'G7'을 대신하는 틀로 발전할 것이라는 시각이 부상했는데, 일본이 이에 반대했다는 겁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이 참가하게 되면 아시아의 유일한 G7 국가라는 일본의 지위에 영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반대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앵커]
'G7 정상회의'는 막을 내렸는데요. 1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미러 정상회담도 지켜봐야겠습니다. 그동안 사이가 좋지 않았던 두 나라가 회담을 계기로 소통의 물꼬는 틀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요.
[기자]
미국과 러시아는 최근 미국 주요 산업 현장에 잇따라 발생한 해킹으로 사이가 더욱 껄끄러웠습니다. 미국 최대 송유관 업체와 최대 정유업체가 잇따라 랜섬웨어 공격으로 멈춰섰는데 미국이 이를 러시아에 기반을 둔 해커의 소행으로 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16일 회담을 앞두고 푸틴 대통령이 먼저 미국과 러시아 간 사이버 범죄자를 상호 간에 인도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발생한 미국 내 해킹을 일으킨 범인이 러시아 국적이라면 이 범인을 미국에 인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얘기입니다.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제안에 바이든 대통령은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사이버 범죄자를 상호 교환하자는 푸틴 대통령 제안에 따를 수 있다...